Data/Data Analysis Bootcamp

IT 커리어 Conference CAMPCON_PM직무 알아보기!

SE_TORY 2024. 2. 28. 17:23
728x90

 

안녕하세요!

오늘은 패스트캠퍼스에서 매달 진행하는 'IT 커리어 Conference CAMPCON' 에 대해 공유드리려고 합니다.

캠프콘은 패스트캠퍼스에서 제공하는 무료 세미나인데요, 한정된 인원으로 진행되나 부트캠프를 수강하는 수강생들은 얼리버드 신청기회를 제공합니다. 캠프콘에서는 달마다 새로운 직무를 주제로 실제 현업에서 근무하고있는 연사자님의 강연을 들을 수 있습니다.

 

✨2월 캠프콘 연사자 소개 ✨

(1부) 김하나님 [우아한형제들 PM | 카카오, LINE Pay 서비스 기획자 출신] - 주제 : IT대기업 3사 출신 멘토가 알려주는, 일하면서 성장하는 PM직무의 매력

(2부) 정대욱님 [야놀자 테크스쿨 최우수 그룹 프로젝트 리더]

- 주제 : 야놀자 테크스쿨 최우수 프로젝트 사례 발표 및 러닝 공유

 

비전공자이고 데이터관련 여러 직무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는 저로서는 커리어를 정해나가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.

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를 들으면 무료 세미나도 많고 커리어패스 강의들도 많아서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것 같아요!

혹시라도 매달 진행되는 캠프콘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위에 그림에 알림신청 링크 걸어두었으니 참고해주세요.

 

제가 공유드릴 내용은 강연 내용 중에서 PM직무의 역량이 어떻게 되는지, 현업에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, PM직무경험을 어떻게 쌓으면 좋은 지 등의 전반적인 내용입니다.


성장하는 PM이 되기 위한 실전 가이드

 

PM이 하는 업무를 크게 두가지로 나누면 기획과 프로젝트 매니징이 있고 조금씩 다른 역량을 요구한다고 합니다.

 PM_ 기획에서 필요한 역량

사용자 중심 사고

사용자 중심으로 서비스 기획해야 함 → 사용자 리서치, 데이터 기반

 

<현업에서의 적용>

'현장사용성'의 중요성 → 사용자 인터뷰, UT, 로그를 적용하여 사용성 추정

 

다각적 분석력

배경이 탄탄한 기획이 중요함 →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, stakeholder의 니즈 파악, 리스크 검토

 

<현업에서의 적용>

stakeholder : B2B 사용자, B2C사용자, 사업적 측면, 법적인 규체

고려할 부분 : 요구사항, (hidden)니즈, 리스크 검토

* 숨어있는 히든니즈를 찾아내서 분석하는 역량이 아주 중요함!

* 모든 법적 규제나, 측면을 직접 검토하는 것은 아니고 큰 틀을 알고 유관부서에 검토 요청

 

논리력

잘 짜여진 기승전결이 중요하다.

배경 → 목표 → 정책 → FLOW → 상세내용 → 후속과정 → 결과리포트

 

<현업에서의 적용>

배경 : 현황, 영향범위, 요구사항, 리스크 내용을 잘 포함해야 함

목표 : 기획 Key Feature, OKR (OKR과 KPI 두가지 방식이 있지만 최근에는 OKR을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)

 

PM_ 프로젝트 매니징에서 필요한 역량

커뮤니케이션

잘 듣고 잘 전달하기 → 이슈(현상), 원인, 영향범위, 해결방법을 명료하게 잘 전달하는 것이 중요!

 

<현업에서의 적용>

E-mail보다는 슬랙을 많이 활용

핵심만 간결하게 내용 공유하는 것이 중요

 

체계화

잘 정리하기 (특히 회의자료 정리할 때) → 맥락은 이해하고 디테일은 도움 요청하기!

회의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함

 

<현업에서의 적용>

모든 개발 스펙을 알 필요는 없고, 맥락 정도만 이해하고 디테일한 부분은 담당자분께 도움 요청

 

문제 해결

PM은 해결사 역할 → 보통 유관 부서에서 PM을 찾을때는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때 주로 찾음. 개인의 잘못이 아닌 시스템의 원인이며, 해결방법을 찾아보기

 

<현업에서의 적용>

당황하지 말고 차선책을 찾기(100% 만족스러운 선택은 없을 수 있음)

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무엇이 더 중요한지, 어떤 리스크를 감수할지 선택

 

 PM직무 Q&A

 

Q1. PM직무에서 필요한 데이터 역량은?

  • 어떤 데이터를 볼 것인지 '기획'
  • Raw data 추출 (엑셀로 추출)
  • 분석 및 시각화 (간단한 기본 통계)
  • 인사이트 발굴
  • Action item 도출

Q2. 어느 정도로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있어야하는지?

  • 비즈니스 목표를 어떻게 프로덕트로 풀지가 중요함
  • 배경(원인, 영향, 요구사항, 리스크) → 목표
  • 해당 과정에서 도메인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도 정도면 충분함 (대부분 입사하면 배우게 됨)
  • 결국은 사용자의 목소리를 반영해주는 유일한 직군(사용자를 생각하는 기획을 하는 것이 중요함)

Q3. 화면정의서는 어느정도로 작성해야 하는지?

  • 설득력 있는 기획, 꼼꼼한 정책이 중요함 (정책과 논리가 제일 중요)
  • 화면보다는 'description' 이 더 중요
  • 회사마다 다름(하지만 대부분 PM직군이 있는 회사는 화면정의서의 우선순위는 낮은편)

 

PM직무 경험 쌓기 TIP
내 역량을 잘 보여줄 수 있는 경험을 전달하기

다양한 대외활동 추천

어떤 활동을 '했다' 보다 그 '과정'에서 내가 한 것이 잘 보여질 수 있도록 이력서/포트폴리오 준비하기

 

스터디, 해커톤, 부트캠프, 사이드 프로젝트 활용

*해커톤의 경우 수상을 안해도 협업을 해보고 배포해본 그 과정 자체가 의미있고, 포트폴리오에 녹아져있으면 좋다

*사이드 프로젝트 : 주변 지인들과 함께 프로젝트 해보기

→ 성공하든 실패하든 앱을 한번 만들어보고 배포해보기

728x90